[모집] 2016년도 경제협력권산업육성사업[기능성 하이테크 섬유] 지역협력형(대구/경북/부산) 비R&D(사업화지원) 수혜기업모집 공고 상세보기
[모집] 2016년도 경제협력권산업육성사업[기능성 하이테크 섬유] 지역협력형(대구/경북/부산) 비R&D(사업화지원) 수혜기업모집 공고
조회 9978
2016-07-15 17:11:56
[(재)대구테크노파크-239호]
2016년도 경제협력권산업육성사업[기능성 하이테크 섬유]
2지역협력형(대구/경북/부산) 비R&D(사업화지원)
수혜기업모집 공고
2016년도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원하는 경제협력권산업육성사업[기능성 하이테크 섬유] 지역협력형 비R&D(사업화지원) 지원기관 및 지역별 지원 프로그램을 안내하오니, 해당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대구/경북/부산지역 중소․중견기업의 많은 신청 바랍니다.
2016년 7월 15일
(재)대구테크노파크원장, (재)경북테크노파크원장, (재)부산테크노파크원장
- [대구] DYETEC연구원장, 한국섬유개발연구원장, ㈜피에프아이엔 대표이사
- [경북] (재)경북테크노파크 천연염색재료연구소장,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장, (재)한국섬유기계연구원장, (재)한국신발피혁연구원장
- [부산] (사)부산섬유패션산업연합회장, (재)중소조선연구원장, (사)한국섬유마케팅센터이사장
□ 지원내역
- (지원규모) 국비 약 884백만원
- (지원프로그램 및 내용) 총 29개
[대구] 8개
산업분야 | 지원유형 | 프로그램명 | 지원내용 | 지원기관명 |
기능성 하이테크 섬유 |
패키지 | 제품화 지원 | •글로벌선도 제품화 패키지 지원 - 제품기획&정보제공-상품디자인-시제품제작-시험분석/인증-마케팅머티리얼제작-전시회 등 선택적 지원 |
한국섬유 개발연구원 |
사업화 지원 |
마케팅 지원 | •마케팅 머티리얼 제작 지원 - 유망품목별 R&D 수행기업 및 전후방 연관 기업군에 대한 기술개발 사업성과 활용을 위한 상시홍보 지원 |
||
•글로벌 제품 기획력 강화 지원 - 선진소재 확보-분석-제품 분석&제품화 공정설계 정보-시장별 선진소재 트렌드 정보 제공 - 해외 선진시장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글로벌 시장에 부함하는 제품 기획역량 강화 지원 |
DYETEC 연구원 |
|||
국내 전시회 참가 지원 |
•국내 전시박람회 개별 참가 지원 - 부스 임차 및 설치비, 부대시설 사용료, 통역 및 물품운송, 전시장 홍보물 제작 지원 |
|||
국외 전시회 참가 지원 |
•국외 전시박람회 개별 참가 지원 - 부스 임차 및 설치비, 부대시설 사용료, 통역 및 물품운송, 전시장 홍보물 제작 지원 |
|||
•해외 공동관 조성 및 운영 지원 - ‘17 상해 인터텍스타일 공동관 조성 및 운영지원 - 부스 임차 및 설치비, 부대시설 사용료, 통역 및 물품운송, 전시장 홍보물 제작 지원 |
||||
글로벌 마케팅 지원 |
•국내외 바이어 발굴 및 수출상담회 운영 지원 [국내] PIS 전시회 수출상담회 [국외] 2017 상해 인터텍스타일 수출상담회 |
㈜PFIN | ||
•1:1 맞춤형 해외 수출 지원
- 유망상품군의 글로벌시장 특성에 맞는 전략수립과 실행을 위한 해외시장 조사 및 비즈니스 모델개발 컨설팅 |
[경북] 11개
산업분야 | 지원유형 | 프로그램명 | 지원내용 | 지원기관명 |
기능성 하이테크 섬유 |
사업화 지원 |
국내 전시회참가 지원 | •국내 전시박람회 개별 참가 지원 - 거점별 마케팅채널구축 및 판로확대를 위한 국내 전시 지원 - 부스 임차 및 설치비, 부대시설 사용료, 통역 및 물품운송, 전시장 홍보물 제작 지원 |
경북테크노파크 천연염색재료 연구소 |
마케팅 지원 | •마케팅 머티리얼 제작 지원 - 기업 제품소개 브로슈어 및 동영상 제작 |
|||
기술지원 | 제품화 지원 | •수출 상품 기획 지원 - 시제품 제작 및 상품화 이후 수출관련 에로사항의 해결을 위한 제품의 설계 및 제작 기획지원 |
(재)한국섬유 기계연구원 |
|
인증/분석 지원 | •수출유망제품 해외 인증 지원 - 제품의 분석 후 수출사업화 해외 규격 인증 획득 지원 |
|||
제품화 지원 | •수출유망품목 시제품제작 지원 - 기능성하이테크 섬유 분야 선진 기술 및 수요를 반영한 시제품 제작 지원 |
(재)한국신발 피혁연구원 |
||
인증/분석 지원 | •수출유망기업 품질 인증 지원 - 수출유망 상품의 마케팅 활성화를 위한 품질 인증지원 |
|||
•수출유망품목 분석지원 - 현장 애로기술에 대한 기술컨설팅 지원을 포함한 분석지원 |
||||
사업화 지원 |
제품화 지원 | •수출유망제품 제품고급화 - 수출 유망제품의 개발을 위한 제품고급화 지원 |
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|
|
기술지원 | •수출유망제품 제품고급화 기술지도 - 수출 유망제품 개발의 제품고급화를 위한 기술지도 |
|||
사업화 지원 |
글로벌 마케팅 지원 |
•마케팅 컨설팅 지원 - 바이어 발굴, 1:1 바이어 밀착관리 등 국외 마케팅 컨설팅 지원 |
경북테크노파크 천연염색재료 연구소 |
|
국외 전시회 참가 지원 |
•국외 전시박람회 개별 참가 지원 - 거점별 마케팅채널구축 및 판로확대를 위한 국외 전시 지원 - 부스 임차 및 설치비, 부대시설 사용료, 통역 및 물품운송, 전시장 홍보물 제작 지원 |
[부산] 10개
산업분야 | 지원유형 | 프로그램명 | 지원내용 | 지원기관명 | |
기능성 하이테크 섬유 |
기술지원 | 제품화 지원 | •경제협력기반 제품화 지원 - 대구, 경북, 부산의 비즈니스 협력형 제품화 종합지원 |
생활제품
(패션,잡화) |
(사)부산섬유패션 산업연합회 |
산업제품 (해양,토목,자동차내장재) |
(재)중소조선 연구원 |
||||
사업화 지원 |
마케팅 지원 | •상품기획 프로모션 지원 - 국내외 사업화 프로모션물의 기획 및 제작, 신상품기획 등 지원 |
생활제품 (패션,잡화) 산업제 (해양,토목,자동차내장재) |
(사)한국섬유 마케팅센터 |
|
국내 전시회 참가 지원 |
•국내 전시박람회 개별 참가 지원 - 국내 판로확대를 위해 바이어 초청, 전시회 참가 등 지원 |
생활제품 (패션,잡화) |
(사)부산섬유패션 산업연합회 |
||
산업제품 (해양,토목,자동차내장재) |
(재)중소조선 연구원 |
||||
국외 전시회 참가 지원 |
•해외 공동관 조성 및 운영 지원 - 부스 임차 및 설치비, 부대시설 사용료, 통역 및 물품운송, 전시장 홍보물 제작 지원 |
기업공동관 조성 및 운영 지원 (2017 CHIC) |
(사)부산섬유패션 산업연합회 |
||
기업공동관 조성 및 운영 지 (산업용섬유) |
(재)중소조선 연구원 |
||||
•국외 전시박람회 개별 참가 지원 - 수출시장 개척을 위한 바이어 초청, 전시회 참가 등 지원 |
생활제품 (패션,잡화) |
(사)부산섬유패션 산업연합회 |
|||
산업제품 (해양,토목,자동차내장재) |
(재)중소조선 연구원 |
||||
글로벌 마케팅 지원 |
•해외 바이어 발굴 지원 - 수혜기업 신규바이어 확보 및 활용, 해외 오더수주를 위한 제반 프로그램 지원 |
(사)한국섬유 마케팅센터 |
□ 신청자격 및 대상
- 수행지역(대구,경북,부산)에 소재한 중소․중견기업(본사, 공장, 연구소 등)
※ 부가가치세법 및 동법 시행령 제8조에 근거 해당지역 과세납부 사업장이어야 함. - 지역 유망품목별 기능성 하이테크 섬유산업 전·후방 연관 제품(기술) 분야로 신청 가능
[지역별 유망품목]
산업분야 | 경제협력권별 유망품목 | ||
대구 | 경북 | 부산 | |
기능성 하이테크 섬유 |
① 신기능성/신감성 의류용 소재 및 제품
② 생활자재용 소재 및 제품 ③ 고성능 건축용 소재 및 제품 ④ 방호·보호용/엔지니어링용 소재 및 제품 |
① 위생/의료용 기능성 섬유소재 및 제품
② 환경용 기능성 섬유소재 및 제품 ③ 자동차용 기능성 소재 및 내장재 ④ 전기/전자용 기능성 섬유소재 및 제품 |
① 글로벌 문화융합형 패션 및 잡화
② 해양 방재/환경용 섬유소재 및 제품 ③ 자동차용 내장재 제품 ④ 토목용 섬유소재 및 제품 |
- ※ 범용제품의 양적확대를 지양하고, 핵심 유망품목군 중심의 기술고도화를 통한 고부가 생산기반의 사업화 경쟁력 강화
- ※ 핵심기업군의 사업화 경쟁력 증대를 위한 통합적(패키지) 사업화 지원 프로그램
[지역별 표준산업분류코드(KSIC) 해당기업 및 전․후방 연관제품(기술)을 보유한 기업]
표준산업분류코드 | 세세분류업종명 |
표준산업분류코드 | 세세분류업종명 |
13104 | 연사 및 가공사 제조업 |
20501 | 합성섬유제조업 |
13211 | 면직물직조업 |
13409 | 기타 섬유제품염색,정리 및 마무리 가공업 |
13213 | 화학섬유직물직조업 |
13922 | 어망 및 기타 끈 가공품 제조업 |
13229 | 기타직물제품제조업 |
13999 | 그 외 기타분류 안 된 섬유제품제조업 |
13402 | 직물 및 편조 원단 염색가공업 |
13921 | 끈 및 로프 제조업 |
13992 | 부직포 및 펠트 제조업 |
21300 | 의료용품 및 기타의약관련 제품제조업 |
13993 | 특수사 및 코드직물 제조업 |
22299 | 그 외 기타플라스틱제품제조업 |
13994 | 적층 및 표면처리 직물 제조업 |
|
- ※ 경제협력권산업육성사업 비즈니스협력형 R&D 참여기업은 교차지원 불가
- ※ 사전제외 대상 (공통운영요령 근거)
- ① 신청기업, 대표자가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제한에 해당하는 경우
- ② 제출서류(신청서 등) 미비 경우
- ③ 동일한 내용(품목)으로 타 기관으로부터 지원을 받은 사실이 확인될 경우
- ④ 제조업 없는 단순 유통업, 간이과세자 및 대기업은 지원취지에 부합하지 않으므로 지원대상에서 제외함.
- ⑤ 기업의 부도, 최근 결산 기준 자본전액잠식의 경우
- ⑥ 국세․지방세 등 체납처분을 받은 경우
- ※ 중소기업진흥공단 및 신용회복위원회(재창업지원위원회)를 통해 재창업자금을 지원받은 경우와 신용보증기금 및 기술신용보증기금으로부터 재도전기업주 재기지원보증을 받은 경우 예외
- ⑦ 파산․회생절차․개인 회생절차 신청이 이루어진 경우
※ 법원의 인가를 받은 회생계획 또는 변제계획에 따른 채무변제를 정상적으로 이행하고 있는 경우 예외 - ⑧ 사업개시일이 3년 이상이고 최근 2년 결산 부채비율이 연속 500% 이상인 기업 또는 유동비율이 50%이하인 기업
※ 기업신용평가등급 중 종합신용등급이 ‘BBB''이상인 경우, 기술신용평가기관(TCB)의 기술신용평가 등급이 “BBB“이상인 경우 또는 외국인투자촉진법에 따른 외국인투자기업 중 외국인투자비율이 50%이상이며, 기업설립일로부터 5년이 경과되지 않은 외국인투자기업은 예외
※ 사업개시일로부터 점수마감일까지 3년 미만인 기업의 경우는 미적용 - ⑨ 최근년도 결산 감사 의견이 “의견거절” 또는 “부정”
ㅇ지원 우대사항 (가점 최대 2점)
- ① 지역 TP 선정 수출유망기업 2점, ② 중소기업청 지정 수출유망중소기업 2점
- ③ 수출실적에 따른 가점
* 중소기업 평균수출액 : 164만불(''13년), 중견기업 평균수출액 : 4,770만원(''13년) / 출처 : ''14년, 관세무역개발원
□ 유의사항
- 제출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.(평가결과는 신청기업에 개별통보)
- 신청서류는 반드시 지정양식을 사용하여야 하며, 첨부서류는 누락되는 일이 없도록 제출 이전 필히 점검(지정양식 이외 양식 사용 및 첨부 서류가 누락되는 경우 심사 대상에서 제외)
- 무상 지원(자부담 없음) 프로그램은 지원금 한도와 무관하게 신청 가능
- 지원신청서(엑셀) 작성 시 금액은 반드시 천원 단위로 작성
- 산업내 신청 프로그램이 다수라도 유망품목별로 하나의 지원신청서 및 상세기술서로 작성
- 상세기술서의 지원받고자 하는 내용 및 범위는 지원신청서(엑셀서식)의 신청프로그램 수와 반드시 일치하게 작성
- 세부 프로그램별 기업부담금(세부 프로그램별 자부담 비율 참고)이 있으며, 결과보고서 제출 시 자부담 증빙내역(이체내역 등) 제출
- 신청서를 제출한 기업은 과제종료 후 사업화 성과 보고 등 사업지원 대가로 부과되는 의무를 성실히 이행할 것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함.
- 다음의 경우 프로그램 선정 이후에도 지원중단과 지원금 전액을 환수조치 함.
- 제출서류가 위/변조 혹은 허위임이 밝혀질 경우 그 즉시 선정 취소
- 동일한 내용으로 타 기관으로부터 지원을 받은 사실이 확인될 경우 - (지원방법) 수혜기업 선정 후 직접지원(지원기관 → 수혜기업) 및 간접지원(지원기관 → 용역기관 → 수혜기업)의 방법으로 지원
□ 평가방법
- (평가방법) 지원 프로그램별 구분 후 객관적 평가지침을 이용한 선정
→ 성장률(매출, 규모 등), 글로벌 사업화 기술력, 사업화 의지 등 고려
- 선정평가는 신청기업의 참여제한 사전검토 후 지원신청서 기반 예비진단, 필요 시 면담/현장실태조사, 서면 또는 발표평가 결과를 종합, 최종 선정
- 유형별 지원금액은 선정위원회에서 조정 가능
- 예비진단 : 지역별 테크노파크(기업지원단)의 참여제한, 중복지원 여부 확인
- 현장실태조사 : 인프라 및 제품현황 등 기업역량 확인
※ 지원기관에서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실시 가능,
① 창업3년 미만 기업, ② 지원금1,000만원이상 신청 기업 우선 실시
- 선정평가 : ① 참가신청서 및 제출서류를 통한 서면평가, ② 필요시 대면평가
※ 지원기관에서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실시 가능, 지원금1,000만원이상 신청 기업 우선 실시 - (평가기준) 예비진단, 면담/현장실태조사, 선정평가 결과 종합, 최종 선정
- 평가점수 60점 이상인 기업 중 최고평점을 득한 기업순으로 선정
□ 추진일정 및 지원절차
※ 하기 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.
절차 | 주요내용 | 진 행 일 정 | ||
수혜기업 통합공고 | 지역별 테크노파크(기업지원단)/지원기관 : 참가기업 모집 통합 공고 및 홍보 |
2016. 7. 15(금)~8. 5(금) | ||
사업 설명회 개최 | 지역별 테크노파크(기업지원단)/지원기관 : 각 지역 지원프로그램 통합 설명회 개최 |
대구/경북: 2016. 7. 21(목)
부산 : 2016. 7. 22(금) [14:00~16:00] |
||
수혜기업 접수 | 지원기관 : 각 지역별 주관기관 개별 접수 | 2016. 7. 15(금)~8. 5(금)
[09:00~18:00] |
||
기업 예비 진단 | 지역별 테크노파크(기업지원단) : 서면 진단 | 2016. 8. 10(수) ~ 18(목) | ||
면담/현장실태조사 | 지원기관 : 인프라, 제품현황 등 기업역량 확인 | 2016. 8. 10(수) ~ 18(목) | ||
선정평가 | 지원기관 : 외부 전문가를 통한 선정평가(서면, 대면 평가) | 2016. 8. 23(화) [10:00 ~] |
||
선정평가 결과 통보 | 지원기관 : 선정평가 후 7일 이내 결과 통보 | ~ 2016. 8. 30(화) 까지 | ||
사업수행 | 지원기관 : 협약체결(지원기관별 상이), 사업수행 | 9월 초 |
□ 사업설명회 일정
산업군 | 일시 | 장소 | 주소 | |
기능성 하이테크 섬유 |
2016년 7월 21일(목)
[14:00~16:00] |
대구/경북 | 경북테크노파크 본부동 2층 국제회의실 |
경북 경산시 삼풍로 27 |
2016년 7월 22일(금)
[14:00~16:00] |
부산 | 부산디자인센터 4층 강연장 |
부산시 해운대구 센텀동로 57 |
□ 신청방법 및 지원절차
- 접수기간 : 2016년 7월 15일(금) ~ 8월 5일(금) 18:00까지
- 신청방법:
- 각 지역별 테크노파크(대구, 경북, 부산), 지원기관 홈페이지/공지사항에서 신청서 양식 다운로드하여 작성 후 우편 및 방문 접수
- 원본 파일은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제출
- 제출서류 : 총5부(원본1/사본4), 사본제출시 원본대조필 날인 필수구분 제출서류 목록 필수 ① [공통서식1] 기업지원서비스사업 수혜기업 지원신청서 (엑셀서식 기준) ② [공통서식2] 기업지원서비스사업 수혜기업 수요 상세기술서 ③ [공통서식3] 수혜기업 대표의 참여의사 확인 및 실무담당자의 개인정보 이용 동의서 ④ [공통서식4] 중복지원금지 확약서 ⑤ 사업자등록증 사본 (원본대조필 날인 요망) ⑥ 최근 3년간[‘13~’15] 기업재무제표 (일반과세자 경우 부가가치세과세표준증명) ⑦ 최근 3년간[‘13~’15] 4대보험 가입자 명부 (신청일 기준) ⑧ 우대사항증빙 지역 TP 선정 수출유망기업, 중소기업청 지정 수출유망중소기업 증빙 최근 3년간[‘13~’15] 수출실적(한국무역협회 수출실적증빙, 수출신고필증 등) 선택
(해당시)⑨ 국내외 전시회
지원 신청 시[공통서식5] 국내외 개별전시회 참가 지원 계획서 [공통서식6] 공동관 참가 계획서 ⑩ 공장등록증 사본 지식재산권, 인증관련서류 (특허, 벤처기업, 이노비즈, 메인비즈, ISO 등) 회사 및 제품 소개 홍보물 (카달로그, 브로셔 등) - 통합공고 이후 선정결과 적격기업이 없거나 기업지원 예산이 남을 경우 상시접수형태의 추가공고 진행 ※ 상시접수 : 예산소진 시 까지 접수가능
- 세부 지원내용 문의처
[대구]
프로그램명 | 담당자명 | 전화번호 | 이메일 | 기관명 |
기업공동관 조성 및 운영 지원 [국외] ‘17 상해 인터텍스타일 |
정명진 | 053-350-3842 | skyjung01@dyetec.or.kr | DYETEC 연구원 |
국내 전시박람회 참가 지원 | ||||
국외 전시박람회 참가 지원 | ||||
글로벌 제품 기획력 강화 지원 | ||||
마케팅 머티리얼 지원 | 홍상기 | 053-560-6594 | sghong@textile.or.kr | 한국섬유 개발연구원 |
글로벌선도 제품화 패키지 지원 | ||||
국내외 바이어 발굴 및 수출상담회 운영 지원 [국외] 2017 상해 인터텍스타일, [국내] PIS 전시회 |
유수진 | 02-517-8722 (#120) |
roan@pfin.kr | ㈜PFIN |
1:1 맞춤형 해외 수출 지원(컨설팅 지원) |
[경북]
프로그램명 | 담당자명 | 전화번호 | 이메일 | 기관명 |
국내 전시회 지원 | 김미진 | 054-339-3362 | immj@gbtp.or.kr | 경북테크노파크 천연염색 재료연구소 |
마케팅 머티리얼 제작 지원 | ||||
마케팅 컨설팅 지원 | ||||
국외 전시회 지원 | ||||
수출 상품기획 지원 | 이미희 | 053-819-3178 | mihee@kotmi.re.kr | (재)한국섬유기계 연구원 |
수출 유망제품 해외 인증 지원 | ||||
수출 유망품목 시제품제작 지원 | 서석훈 | 051-605-3381 | shsur@kiflt.re.kr | (재)한국신발피혁 연구원 |
수출 유망기업 품질 인증 지원 | ||||
수출 유망품목 분석지원 | ||||
수출 유망제품 제품고급화 | 정의현 | 054-478-7921 | uh49@kumoh.ac.kr |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|
수출 유망제품 제품고급화 기술지도 |
[부산]
프로그램명 | 담당자명 | 전화번호 | 이메일 | 기관명 |
경제협력기반 제품화 지원 (생활제품 : 패션, 잡화) |
장우진 | 051-744-6322 | btfa@fashioncity.or.kr | (사)부산섬유패션 산업연합회 |
경제협력기반 제품화 지원 (산업제품 : 해양,토목,자동차내장재) |
김현주 | 051-974-5543 | hjkim@rims.re.kr | (재)중소조선연구원 |
기업공동관 조성 및 운영 지원 (2017 China International Fashion Fair) |
곽은지 | 051-744-6322 | btfa@fashioncity.or.kr | (사)부산섬유패션 산업연합회 |
기업공동관 조성 및 운영 지원 (산업용섬유전시회) |
김현주 | 051-974-5543 | hjkim@rims.re.kr | (재)중소조선연구원 |
개별전시지원(산업제품) | ||||
상품기획 프로모션지원 | 이상학 | 051-974-5543 | sanghak@ktcin.com | (사)한국섬유
마케팅센터 |
해외바이어 발굴 지원 |
- 신청서 방문 및 우편 접수처 / 문의처
기관명 담당자명 전화번호 이메일 지역 우편번호 주소 DYETEC연구원 정명진 053-350-3842 skyjung01@dyetec.or.kr 대구 41706 대구광역시 서구 달서천로92 A동 1층 기업지원팀 경북테크노파크
천연염색재료연구소김미진 054-339-3362